2025/09/25 2

제사상에 올리면 안되는 생선

제사상에 올리는 생선은 조상에 대한 존경과 정성을 담는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전통과 관습에 따라 일부 생선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집안마다 다르게 준비하는 경우도 많지만, 여전히 지켜지는 금기 생선이 있습니다.'치'로 끝나는 생선의 금기삼치, 갈치, 꽁치, 멸치 등 이름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는 '치'가 한자로 어리석을 치(痴), 부끄러울 치(恥)와 같은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어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자리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 생선이 예전에는 흔하고 저렴한 하급 어종으로 분류되어, 최고의 음식을 올린다는 제사상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인식도 작용했습니다.비늘 없는 생선과 등푸른 생선비늘이 ..

제사 조기놓는방향

제사에서 조기 놓는 방향은 오랜 전통과 예법에 따라 정해집니다. 오늘은 ‘제사 조기놓는방향’에 대해 정확하고 간결하게 정리하였습니다.제사상 기본 방향과 위치제사상은 신위(위패 또는 지방)가 있는 쪽을 북쪽,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서는 쪽을 남쪽으로 봅니다. 이때 제사상을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이러한 기준은 전국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방식입니다.조기 등 생선 놓는 법생선을 올릴 때는 ‘어동육서’ 원칙에 따라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둡니다. 또한 ‘두동미서’에 따라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 것이 전통입니다. 중요한 점은 생선의 배가 신위(조상님) 쪽, 즉 제사상 안쪽을 향하도록 놓는다는 점입니다. 이는 조상님께서 드시기 편하도록 배 부분을 가까이 두는 ..